지표(地表)에서 가을까지의 따뜻한 4개월의 평균 기온이 10℃ 이상이며, 이 기간의 총 강수량이 500㎜를 넘는 곳에는 별다른 장해(障害)가 없는 한 원생림(原生林)이 생긴다고 한다.
이 장해란 화산의 분화·홍수·사태·화재·병충해(病蟲害)·동물에 의한 식해(食害)·인간에 의한 벌채(伐採) 등이다.
이 원생림은 그 성육(成育)하는 기후대에 따라 열대림(熱帶林)·난대림(暖帶林)·온대림(溫帶林)·냉대림(冷帶林)으로서 수평적(水平的)·수직적(垂直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①열대림:연평균 기온 21℃ 혹은 온량지수(溫量指數) 180∼240인 지역에 분포하는 상록 활엽수(常綠闊葉樹)·야자류·목본 양치류(木本羊齒類)·넝쿨이 뻗는 만경 식품(蔓莖食品)·기생 식물(寄生植物) 등으로 나무 종류가 매우 많고, 밀림(jungle)을 형성한 곳이 많다. 유용 수종(有用樹種)에는 마호가니(mahogany)·티크(teak)·자단(紫檀)·흑단(黑檀)·고무 나무 등이 있다.
②난대림:연평균 기온 13∼21℃ 혹은 온량지수 75∼180인 지역에 분포하는 상록수·침엽수로 미국의 남부·에스파니아·포르투갈·이탈리아·그리스·터키·이란·화남(華南) 등에 분포하며 칡·참나무·감귤류·올리브·동백나무·소나무·해송·사스레피나무·벗죽이나무 등으모 유용재(有用材)가 많다.
③온대림:연평균 기온 6∼13℃, 온량지수 55∼85인 지역에 분포하며 독일·프랑스·덴마크·네덜란드·벨기에·스위스·영국·미국의 대부분·중국 등에 느릅나무·떡갈나무·상수리나무·단풍나무 등의 낙엽 활엽수와 소나무·삼나무·편백 등의 침엽수가 섞여 분포한다. 나무 종류는 적으나 유용재가 많다.
④냉대림:연평균 기온 6℃ 이하 혹은 온량 지수 15∼55인 지역에 분포하며 스웨덴·노르웨이·핀란드·캐나다·소련 등에 나타나며 특히 소련의 것은 타이가(taiga)라고 부른다. 침엽 수림에 활엽수가 약간 섞여 있고, 나무 종류는 한정되어 있다. 이깔나무·가문비나무·전나무 등이 주요한 것이다.
이 중에서 온대림과 난대림은 두개 합쳐도 전 삼림 면적의 15%에 지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열대림과 냉대림은 각각 50%, 35% 정도를 차지하여 세계의 삼림이라고 하면 이 두 지역의 것이 중심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