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 블루베리 뿌리는 천근성으로 생육에
적합한 토양은 지형적으로 지하수위가 50~60cm정도의 지대이며, 유기물을 5~10%정도 함유한 사질토 비율이 많은 산성토양입니다 생육이 우수한
토지 산도는 하이부시 블루베리의 경우 Ph 4.3~4.8, 래빗아이 블루베리는 Ph 4.3~5.3. 이죠
ㆍ미국 야생 블루베리의 대규모 자생지를 지닌 미국의 블루베리 산지는 거의 대부분 재배하기에 적합한 토양입니다 예를 들어, 뉴저지주의
하이부시 블루베리 재배지대는 평야지대로서 주위에는 다소의 초지가 있고, 지하수위가 높으며 손으로 만지면 부슬부슬한 느낌의 사질토양이죠 그러나
소나무숲 등의 임지를 새로 개간하여 식목하는 경우, 식재하기 1년전부터 6개월 사이에 과수원을 기획하여 구역마다 1~1.5m의 깊은 배수구를
조성하고, 관수관 묻기, 밭갈기, 유기물의 살포, 잡초 제거, 토양 Ph 조정, 과수원의 평지화를 마칩니다
ㆍ일본 일본은 우리와 마찬가지로 적지토양이 매우 적고 한정되어 있어 뿌리의 생장 범위가 되는 토양의 토양물리성, 배수성, 통기성,
토양 Ph를 개선하기 위해 토양개량 및 식목할 자리의 구덩이를 잘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폭 80~100cm, 깊이 50cm 정도의
크기로 구덩이로 파고, 파낸 흙에 다량의 왕겨, 피트모스와 혼합하여 묻어주며 둔덕을 만들어 줍니다 식재 후에 두께 10cm정도로 각종
부엽토, 왕겨, 볏짚, 바크와 같은 각종 유기물을 피복해줍니다
식목거리
ㆍ미국 미국에서는 대규모로 재배하는 곳이 많아 각종 재배 관리, 과실의 수확에 기계를 사용하기 때문에 과수간의 간격은
기계의 크기에 맞추고 있는데요 북부 하이부시 블루베리의 경우 주간 간격은 1.5m, 열(둔덕)간 간격은 3m를 표준으로 합니다
ㆍ일본 일본에서는 식재 및 재배관리를 대부분 인력으로서 해결하며 이에 식재간격은 미국보다 좁게 식재합니다 북부 하이부시 블루베리의
경우 정식재배형은 1.5m * 2m, 밀식재배형은 1.2m * 1.8m로 식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나무가 크게 자라는 래빗아이 블루베리의 경우
2m * 3m 간격이 일반적입니다 관목형 하이부시 블루베리의 경우 밀식재배형 식재 간격으로 효율적인 토지관리 및 높은 생산성을 이루고
있습니다
토양 및 수분관리 ㆍ미국 적합한 토양이
많은 미국이라도 식재 후의 토양관리 및 관수작업은 철저히 하고 있습니다 어린 묘목기에는 묘목 주위에 두께 10cm이상으로 바크로 피복하고,
적기에 관수를 해 줍니다 둔덕사이는 잔리를 심어 관리하는 곳이 많으며 성목의 경우에는 나무 밑에도 잔디를 심어 잡초방지 및 수분관리
효과를 얻습니다 한편, 미국이라도 토양조건이 불량한 지역에서 재배되는 수목 아래에는 바크 등의 유기질로 피복하고 둔덕에는 잔디를 심는 것이
일반적이죠
ㆍ일본 일본은 블루베리의 생육에 적합한 토양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식재시 토양개량과 함께 식재 후, 토양의 건조를 막기 위하여
왕겨, 톱밥, 바크, 낙엽 등의 유기물질로 과수원 전체를 피복하여 블루베리가 잘 자랄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합니다 또한 대부분의 블루베리
과수원들은 관수 작업에 필요한 자동화 시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결실관리 미국은 블루베리의 수분을 확실하게 실시하여
결과율을 높이기 위해 과수원내에 300평당 1개씩의 벌 상자를 설치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도 이 방법을 권하고는 있지만
자연상태에서도 높은 결실율을 보이기에 벌상자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도 많죠 미국, 일본 공히 같은 블루베리 종류 내에서 서로 다른 품종의
블루베리를 2~3품종 이상 혼식하여 숙기를 이르게 하고, 열매의 품질을 높입니다
가지치기 미국 북부 지방의 경우 하이부시
블루베리를 위주로 재배하고 있으며 동절기를 중심으로 가지치기를 하지만 래빗아이를 위주로 재배하는 남부지방의 경우 대부분 여름철 가지치기를
시행합니다 일본에서는 하이부시 블루베리, 래빗아이 블루베리 모두 겨울 가지치기를 중심으로 한다. 가지치기를 하는 이유가 원하는 묘목
만들기, 필요 없는 가지를 제거하기 위함이라는 것은 일본과 미국 모두 같습니다
수확 대부분 기계식 장비를 동원하여 수확하는
미국에 반하여 일본에서는 인력을 이용해 손으로 직접 생과를 따는 방식을 택합니다 생과 출하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미국에서도 사람의 손을
이용하여 수확합니다
궁금증이 풀리셨길 바랍니다
블루베리는 주로 북미에 자생하며 진달래과에 속하는 관목으로 나무나 잎 모양은 철
쭉이나 진달래와 유사합니다.
4∼5월에 흰색의 작은 종모양의 꽃이 송이모양으로 피고 열매는 구형 또는 편평한 원
형이며, 무게 1∼1.5g정도 됩니다.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진한 흑청색·보라색·적갈색·붉은색 등으로 익고 열매 표면
은 회백색의 가루로 덮여 있는데 맛은 달고 새콤하며, 생과로도 소비하나 주스·파이
·잼·설탕졸임·통조림 등으로 만들어서 먹는것으로 알려져있읍니다.
과수에서 나무딸기와 같이 소과류로 분류되고있으며 밭에서 재배됩니다.
우리나라에서 아직 부루베리에 관한 연구는 초기단계이지만 우리나라 환경에서 재배
는 가능하며
재배에 알맞은 토양은 산도가 pH 4-5.5범위의 산성토양으로 특히 통기성이 나쁜 토양
에서는 생육이 매우 불량하기 대문에 토양산도 조정이나 적합한 토양수분함량을 유지
하기위한 특별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있읍니다.
아직 경제적인 재배를 하고있는 농가도 확인되지 않았읍니다.
현재 블루베리에 관한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재배가능성검토를 중심으로 원예연구소
나 고령지농업연구소 외에도 사설연구소에서도 일부 추진하고 있어 장차 적품종선
발, 재배방법확립에 관한 연구결과가 발표될 것으로 기대되나 아직은 우리나라 환경
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 확립 되지 않은 실정입니다.
재배 전망도 아직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다음에 블루베리에 대한 시험 결과와 재배전
망을 좀 더 검토한 후에 재배 여부를 생각해보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
블루베리에 대한 질문에 아래와 같이 답변을 하니 영농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