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건축캐드에서 스케일을 잡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다른 분야의 캐드에서는 조금 다를 수 있으니,
미리 염두에 두시고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또 제가 쓰는 캐드버전이 R14여서 설정값텍스트가 약간 틀릴 수도 있으나
상위 버전과 큰 차이가 없다면 없으므로 그냥 읽어주시기를 바랍니다..^^
*******************************************************************
스케일개념이 잡히지 않은 초보자분들 잘 읽어보시고,
스케일이 뭔지, 어떻게 정해지는건지,
다른 도면을 불러들일때 스케일은 어떻게 맞추는지,
한 도면내에 다른 스케일의 도면을 어떻게 넣는지,,등등.....
을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
글을 쓰기 전에 몇가지만 짚어두고 가겠습니다.
1. 모든 도면은 1:1 로 그립니다.
2. 도면이 출력됐을때 글자의 크기(=Text height)는 A1 기준으로 '3' 으로 합니다.
그럼, 시작을 해 보겠습니다.
********************************************************************
학생들이 대부분이니까, 그리는 순서를 따라가면서
스케일이 어떻게 잡히는지 대강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작은 건물로 하겠습니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도면을 그리겠지요~
(건물의 크기는 가로세로 20M X 10M 의 건물이라고 가정합니다)
1. limits를 정합니다..
단, 도면의 한계는 그려지는 도면 최대치수의 5~10배 크기로 한계를 설정합니다.
그려지는 건물의 가로 최대 크기가 20M(20000mm)이므로 우측상단의 한계설정은 (100000~200000, 50000~100000)
로 설정합니다...그리고 나서 zoom all해줘야겠죠~~
지금에 와서는 조금 도면 한계 설정이 무의미 하다고 생각하지만,
작업영역의 확보를 위해서
도면 최대크기의 5배~10배 정도는 키워줘도 된다고 생각해서 이렇게 합니다.
보통 작업을 하다보면 한 화면에 도면이 많게는 수십장까지 들어갑니다...그러니 나중에는 limits가 무의미 해지는건 당연~~~
종종 도면limits와 scale이 상관관계가 있는걸로 아는 초보자가 많은데 전혀 상관없습니다..특히 학원다니시는 초보자분들이 많이 그러시던데,,
전혀 상관없으니 별개로 생각하시길 바랍니다~~
2. 도면을 그리기 시작합니다.
도면은 항상 1:1로 그립니다. 그래야 다른 도면에서 파일을 불러와도 스케일에 혼동이 없습니다.
//도면을 그리기 전에 자신이 쓰는 레이어를 먼저 생성시킵니다...
물론 그때 그때 만들어도 상관은 없으나
효율을 위해서라면, dwt 템플릿파일에 자주쓰는
레이어, 치수유형, 텍스트유형을 저장해두고
캐드시작시에 Use a template 선택해서 만들어둔 dwt를
불러들이면 되겠지요.//
//dwt파일에 몇가지 형식을 더 정의해 두자면,
첫째는 osnap setting값이고, 두번째는 Format 메뉴-units를 선택하면 Units control 박스가 뜨는데 precision에서
소수점 4자리까지 표시를 해두고 dwt파일을 저장시킵니다...
셋째는 fillet r=0 입니다..
초보분들은 잘 모르겠지만 trim 대신에 fillet을 많이 씁니다.
이때 r=0 값이 돼 있어야겠지요~~~//
중심선-벽체-창호-가구-해칭까지 끝내야겠지요~~
여기까지 그리고 나면 남은 것은 '문자'와 '치수'를 기입하는 것입니다.
이제부터 스케일을 생각해서 텍스트 높이를 정하고 치수유형을 셋팅해야겠지요~~~~~~~~~~~~~~
3. 스케일을 정합니다.
A1도면에 1:50 으로 출력을 할 겁니다..
이 스케일값이 정해지면 문자크기와 치수스케일이 자동으로 정해지겠지요..
앞서 정의내리기를 출력됐을때 글자의 크기는 <3> 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면 A1 1:50 도면에서 text의 height는 <150> 입니다.
<150> 이라는 크기가 <Scale = 1/50>으로 출력이 되니까 150 X 1/50 = 3 이라는 식이 성립하겠지요~
거꾸로 생각해보면 <3 X 50 = 150 height> 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이미 알고있는 값이 두개 있습니다...
'3'이라는 출력시의 텍스트크기와 출력 스케일인 1:50 에서 '50'이라는 수치입니다.
결국, 공식아닌 공식을 만들어 보자면
<<텍스트의 크기>>= < 3 > X <도면의 출력스케일값>
이 되는 것입니다.......
자, 그럼 여기서 확인 문제 하나내보지요~~
1:150 도면에서 텍스트의 크기는 얼마로 정해야 할까요?
정답은 3 X 150 해서 <450> 입니다..
치수 스타일편집도 마찬가지 입니다.
치수 스타일 내의 모든 수치는 출력시 나타나는 '크기'나 '간격'을 기입해주면 됩니다.
제가 쓰는 보통의 수치 두개 정도만 보면,
Extend beyond dim lines = 2
Offset from origin =3
마찬가지로 Text height = 3 입니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스케일값인 <Use overall scale of = 50> 을 써주면 되겠지요~
********************************************************************
자, 그럼 위의 3번에서 어떻게 스케일이 1:50 으로 정해졌을까요?
제일 헷갈리고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순서대로 함 보시죠~
1. A1 크기의 rectangle 박스를 하나 생성시킵니다.
A1 사이즈는 가로세로 840 X 594 입니다.
2. 얼마를 확대하면 도면전체를 포함할 수 있을지 감을 잡고 100 배 확대해봅니다.
박스가 도면에 비해서 너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 undo를 해서 다시 50배 확대해 봅니다...
도면이 박스에 적당히 들어갑니다...........
바로 이 50 배 확대한 수치가 이 도면의 스케일값이 되는 것이고,
plot에서 1:50 으로 출력을 하면 이 도면은 1:50 도면이 되는 것입니다.
~~~~~~~~~~~~~~~~~~~~~~~~~~~~~~~~~~~~~~~~~~~~~~~~~~~~~~~~~~~~~~~~~~~~
여기까지 다 이해 되셨는지요?
그냥 상상의 나래를 한번 펼쳐보도록 합시다.
제가 하는 얘기를 잘 듣고 상상을 잘, 곰곰히, 곱씹어 해보세요.
정말로 큰 종이에 20000 X 10000 크기의 집을 1:1 로 그립니다
이걸 A1크기의 도면에 집어 넣고 싶습니다.
몇배를 축소해야 될까요?
정답은 '최소 50배를 축소해야한다' 입니다.
그랬더니 이 도면은 1:50 의 스케일이 됩니다..
뭔가 감이 잡히는지요?
캐드의 모니터 안 속의 공간이 바로 1:1의 무한정한 종이입니다.
도면을 1:1로 그리고나서, plot로 1/50 으로 축소를 해버립니다.
이상에서 종합해보면, 도면의 스케일이란,
"실제 크기의 그림을 어떤크기의 종이에 얼마를 축소해서 집어넣는 값 또는 수치"
정도라고 정의 내릴 수 있겠지요~
위의 문제에서 그림을 A3 종이에 집어넣을려면 얼마를 축소해야할까요?
정답은 최소 100 배를 축소해야 된다...입니다.....
위의 예에서 1:1로 그린 건물도면이 A1 에서는 1:50 에 출력이되고, A3에서는 1:100 에 출력이 되는데, 종이 크기에 따라서 다른 스케일값으로 출력되어짐을 알 수 있습니다.
~~~~~~~~~~~~~~~~~~~~~~~~~~~~~~~~~~~~~~~~~~~~~~~~~~~~~~~~~~~~~~~~~~~~
요기에서, 이상한 점을 알 수 있습니다.
항상 A1도면의 스케일값은 A3도면 스케일값의 '절반' 이라는 점입니다...
사무실에서는 A1도면을 기준으로 작업을 하되, 대부분의 출력은 A3에 하게 되므로
A1 1:50 도면을 A3 1:100 에 출력하면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바로 글자와 치수크기 입니다.
글자의 크기를 A1 1:50 에서 150 을 잡았기 때문에 A3 1:100 에서는 글자의 크기가 출력이 되면
150 X 1/100 = 1.5 크기로 출력이 됩니다. 치수도 마찬가지 겠지요~
그럼 이걸 다 고쳐줘야 하냐구여?
아닙니다. A3도면에서도 1.5 크기의 글자라도 얼마든지 식별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냥 그대로 둡니다...
원래의 기준이 A1도면 기준이었기 때문입니다....
<<<<<<<<<<<<<<<<<<<<<<<<<<<<<<<<<<<<<<<<<<<<<<<<<<<<<<<<<<<<<<<<<<<<
그럼, 애당초 A1 기준이 아니라 A3가 기준이면? 어떻게 될까요?
보통 계획도면에서는 A3가 기준이 됩니다. 계획도면에서는 복잡하게 글씨가 들어갈 필요가 없이
분명한 도면표시가 목적이기 때문에 글자는 A3에 3 이 기준이 되게 글자높이를 맞춥니다..
>>>>>>>>>>>>>>>>>>>>>>>>>>>>>>>>>>>>>>>>>>>>>>>>>>>>>>>>>>>>>>>>>>>>
자 대충 스케일, 기준...등에 대해서는 정의가 다 된것 같습니다....
첨에 말했던 질문에 대해서 이야기 해봅니다..
1. 1:100 도면을 1:1000 도면으로 바꾸고 싶다.(코실이~~님께서 질문을 해서 대답겸 설명해드립니다)
----> 1:100 도면만 생각해 봅시다. 도면은 항상 1:1이고, 도면틀(form)이 100 배로 확대되어
plot에서 1:100 으로 출력이 되면 이 도면은 1:100 의 스케일의 도면이 된다고 위에서 구구절절 설명을 했습니다.
그럼, 1:1000 도면만을 생각해 봅시다. 건물이 1:1로 그려지고 도면틀을 1000 배 확대하니 건물이 도면에 적당히 들어갑니다.
이 도면의 스케일은 1:1000 이고 plot에서 1:1000 으로 출력해서 1:1000 스케일값을 가진 도면을 만들었습니다.....
종합해보면,
1:100 도면을 1:1000 도면으로 만들려면,
단순히 도면틀(Form 또는 sheet)만 '10 배' 확대(scale)해 준다음
plot에서 1:1000 으로 출력하면 이 도면은 1:1000 도면이 되는겁니다...
코실이님의 문제는 요기서 해결됐습니다.
하지만 이하의 문제는 그렇게 단순하지 않습니다.
위의 예는 단순히 도면틀만의 문제였으나,
가령 1:100 스케일의 1층평명도가 있는데(이미 도면전체가 그려져있다면), 이걸 1:1000 으로 스케일을 맞추라고 합니다.....
그러면 첫째, 텍스트 크기를 1:100 의 H=300 에서 1:1000 의 H=3000 으로 바꿔줘야합니다.
둘째는 치수스케일값을 1000 으로 새로 만들어줘야겠지요~
세번째는 도면의 기호 또는 symbol의 크기를 10배식 해줘야 합니다...
그리고, line type scale(=lts)도 1000 으로 바꿔줘야하며,
해치가 있을때는 해치의 크기도 1:1000 스케일에 맞게 고쳐줘야합니다...
간단한 일이 아니죠~~~
2. 한 도면안에 스케일이 다른 그림을 넣고싶다.
---->도면의 절반쯤은 1:200 건축배치도를, 도면 다른절반의 귀퉁이에는 1:400 의 대지구적(면적)도를 넣어야합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일단 1:200 의 배치도를 기준으로 작성을 합니다.
1:400의 대지구적도는 잊어버리고,,,,,,,
도면틀을 200배 확대를 했고, 글자크기는 600 으로 정했습니다..
이제 1:400 도면을 넣어야 하는데, 헷갈리기 시작합니다.....
잘 생각해 보세요~ 1:400 도면은 1:200 도면보다 "2배가 작아진" 도면입니다.
대지구적도를 반으로 scale을 줄여버리면(즉 scale 0.5 배 해버리면) 이 도면이 1:200 plot됐을때
1:200 에 1/2 배 됐으니 줄여진 대지구적도만 1:400 의 스케일값이 되는겁니다.
결국 지배적인 도면(배치도)의 스케일을 잡고(1:200) 나머지 귀퉁이에 대지구적을 축소(1/2배) 해서 넣으면
그 축소된 도면의 스케일은 원래스케일(1/200) X 축소값(1/2) = 1/400 이 되는겁니다.......
이도 역시 공식아닌 공식이라 말해도 되겠지요~~~
************************************
이제 마무리를 지어야겠습니다....
어떤 도면이던지 기준을 정해야하기 마련입니다..
기준은 항상 실제 출력되어 나왔을때의 치수가 기준입니다...
"이것은 얼마의 크기로 보이면 좋을까?"를 항상 생각해야겠지요~~
"중심선은 교점에서 얼마나 나가게 할까?"
"치수선은 중심선에서 얼마나 떨어지고 하고 치수선간 간격은 얼마로 할까?"
이런 모든 치수를 정하는 것은 출력돼 나와을 때의 값을 인지하시고,
도면에서는 스케일값 만큼 곱해서 수치를 결정하면 됩니다.
한가지만 예를 들어서 "치수선은 중심선 끝에서 얼마나 떨어지게 할까?"
이런 고민을 합니다.
난 2센티미터가 떨어지는게 보기가 좋다면 그렇게 하는겁니다.
2센티=20mm 이므로 1:100 도면에서는 2000 을 띄워야겠지요~~
항상 이런 기준이 똑같이 존재합니다...
치수와 치수간격은 8mm(공책줄간이 아마도 이정도 일껍니다)가 보기좋다.. 그래서 1:100 도면에서는 800 을 떨어뜨린다......
이런식입니다....
스케일 개념이 없으면 이런 계산을 할 수가 없겠지요~~~~~
초보자분들은 이렇게 나름대로 기준을 만들어가시고,
좋은 도면들의 기준은 뭔가를 분석해보시고 자기것으로 몸에 익히시기를 바랍니다~~~~~
저도 아직 만들어가는중~~^^
'공부 > 기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lief valve와 safety valve차이점 (0) | 2010.01.26 |
---|---|
[스크랩] Stainless 강의 특성 (0) | 2009.12.08 |
[스크랩] 열처리분류 (0) | 2009.12.01 |
[스크랩] 철강의 종류 (0) | 2009.12.01 |
[스크랩] 베어링 번호 관련 (0) | 2009.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