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bearings.co.kr/product/industry_01.html
 |
 |
 |
 |
단열 깊은 홈 볼베어링은 구름 베어링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형식으로 그 사용 용도는 매우 광범위 하며, 내륜과 외륜궤도의 홈은 전동체 볼의 반경보다 약간 큰 곡률반경을 갖는다. 이 베어링은 경방향 하중과 축방향 하중 그리고 합성 하중 등 어느 방향의 하중도 받을 수 있으며 마찰 토오크가 적어 고속회전과 저소음 및 저진동이 요구되는 용도에 가장 적합하다 이 베어링에는 개방형 외에 시일드 또는 고무 시일로 밀봉한 밀봉형 베어링 및 외륜외경에 스냅링이 부착된 형태의 베어링이 있다 GMB, KBC, FAG 등 국산 및 NSK, NTN, SKF등 수입품 일체 취급 | |
 |
 |
 |
내경이 10mm 미만인 깊은 홈 볼베어링으로서 OA기기 및 소형 회전기기 등에 사용된다.
대표규격 - 607, 608, 626, 696 등 모든 형번 NSK, K-NSK, NTN, NMB. SKF, IJK, EZO, CHINA등 모든 메이커 취급 | |
 |
 |
 |
◈ 단열 앵귤러 콘택트 볼 베어링은 경방향 하중과 축방향 하중을 받을 수 있다 ◈ 축방향 하중은 한 방향만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반대 방향의 축방향 하중을 받을수 있는 다른 베어린과 조합해서 사용한다 ◈ 자동조심 능력은 극히 제한되어 있다 . ◈ 복열 앵귤러 택트 볼 베어링은 설계상 단열 앵귤러 콘택트 볼 베어링의 0조합과 같다. ◈ 높은 경방향 하중과 양쪽의 축방향 하중을 받을 수 있으며, 높은 축방향 강성이 요구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 |
 |
 |
 |
원추형태의 롤러가 전동체로 내장되어있고 내륜의 큰턱에 의해서 안내되는 이 베어링은 경방향 하중과 한쪽방향의 축방향 하중을 함께 받을 수 있으며 그 부하 능력이 여타 베어링에 비해 매우 크다. 앵귤러 베어링과 마찬가지로 보통 짝지어 사용하며 이 경우 내륜끼리 혹은 외륜끼리의 간격을 축방향으로 조정함에 따라 적당한 내부 틈새를 설정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강판 프레스 리테이너가 사용되고 있으며 저 소음 등의 특성이 요구되는 부위에는 플라스틱 리테이너를 부착한 테이퍼롤러베어링이 사용될 경우도 있다 | |
 |
 |
 |
◈ 니이들 롤러 베어링은 두개의 궤도륜과, 케이지에 의해 안내되고 지지되는 많은 수의 니이들 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 니이들 롤러 베어링의 최대 특징은 작은 단면 높이에도 불구하구 큰 부하능력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제한된 설치공간에서 큰 하중을 받아야 할 경우에 적합하다. ◈ NTN, INA, IKO, JNS등 | |
|
 |
 |
 |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은 고하중용으로 적합하다. ◈ 2열로 대칭된 배럴형 롤러가 구면의 외륜 궤도면에서 자유롭게 중심조정이 되므로, 축의 처짐 및 베어링자리의 미스얼라인머트를 보정할 수 있다. ◈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에는 크고 긴 롤러가 최대한 많이 조립 되어 있다. ◈ 롤러와 궤도륜의 곡류비를 최적하하여 균등한 응력 분포와 큰 부하능력을 갖게 하였다. ◈ SKF, NSK, NTN, FAG | |
 |
 |
 |
 |
◈ 스러스트 볼 베어링은 한방향 및 양방향 구조로 제작 된다. ◈ 축방향하중만을 크게 받을 수 있고 경방향 하중은 받을 수 없다. ◈ 평면 와셔를 갖는 베어링 이외에 조심 하우징 와셔와 받침 와셔를 갖는 베어링도 생산된다. ◈ WBC, NSK, NTN, INA 등 국산 및 수입품 취급 | |
 |
 |
 |
◈ 스러스트 원통 롤러 베어링은 큰 하중과 충격하중을 문제없이 지할 수 있는 견고한 베어링이다. ◈ 이 베어링은 한쪽 방향의 매우 큰 축방향 하중을 받을수 있지만 경방향 하중은 받을수 없고, 또한 자동 조심성이 없다. ◈ 스러스트 원통 롤러 베어링은 스러스트 원통 롤러와 케이지의 조립체, 축 와셔, 하우징 와셔로 분리된다. | |
 |
 |
 |
◈ 한방향 스러스트 앵귤러 콘택트 볼 베어링은 좁은 공차 법위를 가진 정밀급 베어링으로, 공작기계에 주로 사용 된다. ◈ 이 베어링은 강성이 크고, 마찰이 작으며, 신속히 위치를 바꾸는 경우의 고속 회전에 적합하다. ◈ 이 베어링은 비분리형이다 ◈ 양방향 스러스트 앵글러 콘택스 볼 베어링은 좁은 공차 법위를 가진 정밀급 베어링이다. ◈ 테이퍼축의 대단측, 소단측 어느 쪽에도 설치 가능하도록 다양한 내경 치수로 제작된다. | |
 |
 |
 |
◈ 스러스트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은 푹방향 하중을 크게 받을수 있고, 비교적 고속에도 적합하다. ◈ 베어링의 회전축에 대해 궤도면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경방향 하중도 받을 수 있다. ◈ 단 경방향 하중은 축방향 하중의 55% 이하가 되어야 한다. ◈ 스러스트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은 비대치형 배럴 롤러를 가지고 있으며, 미스얼라인먼트를 보정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스러스트 스페리컬 롤러 베어링은 오일 윤활을 해야만 한다. |
 |
 |
 |
 |
 |
HIWIN은 1981년 영국의 PGM사와 기술제휴로 볼스크류 생산을 시작한 이래 볼부쉬,로크너트,직선베어링 X-Y STAGE,LINEAR MOTOR,ACTUATOR,항공기 부품 등을 생산하는 MAKER입니다. HIWIN은 직선제품 제조, 품질관리부분에서 세계 최초로 ISO-9001,ISO-14001을 인증받은 MAKER입니다 HIWIN제품은 현재 대만 공작기계시장에서 8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독일,일본에서도 애용되고 있는 제품입니다. 특히 스위스의 MIKON社에는 품질을 인증받아 무검사 납품을 하고 있습니다. | |
 |
리니어가이드(LM GUIDE)
공장 자동화의 필수품 LM 시스템 THK(삼익공업), NSK, HIWIN 국산 및 수입품 취급: - 평면상에 볼트 체결만의 간단한 작업으로 흔들림 없이 고 정밀도가 얻어지는 유니트 구조로서 축 직각 방향의 모든 방향으로 부터 큰 하중을 받을 수 있다 |
 |
볼 부쉬(BALL BUSH)/볼스플라인
공장 자동화의 필수품 LM 시스템 THK(삼익공업),NSK, NB,TSUBAKI등 국산 및 수입품 취급: - 나사축의 홈과 NUT홈 사이에 강구를 넣어 미끄럼 마찰을 구름마찰로 변환 시켜 이송마찰을 줄이고 마모량을 줄여서 정밀도와 수명을 향상시킨 동력 전달용 나사이다. |
 |
볼 부쉬(BALL BUSH)/볼스플라인
THK(삼익공업), KBC, EASE등 국산 및 수입품 취급 THK, NB등 수입품 취급 원주에 4 - 8줄의 볼열이 원통 축상을 무한 운동하기 때문에 마찰저항이 극히 적은 부드러운 운동이 얻어진다. - 원주 상에 배열된 6줄의 볼열로서 큰 토오크를 받을 수 있으며 1개의 스플라인 불록으로서 앵귤러 래쉬(회전방향의 백래쉬)를 없앨 수 있다. | |
 |
HIWIN 제품은 여러종류의 기계에 사용되며 특히 자동화설비, 산업기계, 공작기계, 의료장비, 반도체장비, 항공기산업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 |
|
 |
 |
 |
 |
 |
베어링 내경이 원통구명형으로 폭이 넓은 내륜에 2개의 육각구멍붙이 멈춤나사에 의해 고정한다. 그리이스 봉입 밀봉형식으로 급유기구를 가지고 있어 여러분야의 사용에 대응할 수 있으며 유니트용 볼베어링중 가장 폭넓게 사용된다. | |
 |
 |
 |
베어링 내경이 테이퍼구멍으로 어댑터를 사용하여 축에 고정한다. 조립에 많은 시간을 요하는 장축(長軸)과 축의 정밀도가 불균일한 경우에 널리 사용된다. UC와 같이 그리이스봉입 밀봉형식으로 급유기구를 가지며, 여러분야의 사용조건에 대응 장시간 안정된 성능을 유지한다. | |
 |
 |
 |
내륜의 외경에 가공된 편심홈과, 칼라의 내경에 가공된 편심홈이 축의 회전력에 의해 축에 자동으로 강력하게 고정된다. 양질의 그리이스를 봉입한 밀봉베어링으로 콤팯트한 설계를 위한 경량타입의 유니트로 사용된다. | |
 |
 |
 |
내륜의 외경에 가공된 편심홈과, 칼라의 내경에 가공된 편심홈이 축의 회전력에 의해 축에 자동으로 강력하게 고정된다. 양질의 그리이스를 봉입한 밀봉베어링으로 콤팯트한 설계를 위한 경량타입의 유니트로 사용된다. | |
 |
 |
 |
내, 외륜의 폭이 동일한 밀봉 깊은 홈베어링 6200형의 외경을 구면(球面)으로 한 형식으로 로라 콘베이어용 유니트로 널리 사용된다. 베어링의 내경의 치수정도는 일반베어링과 같이 마이너스(-)로 가공되어 있어 끼워맞춤 공차를 h6으로 가공된 축을 적용하면 이상적인 끼워 맞춤이 이루어진다. | |
 |
 |
 |
UC형 베어링에 편심칼라를 사용하는 베어링으로 내륜에 가공된 편심원과 칼라에 가공된 편심원이 축의 회전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축을 강력하게 고정한다. 급유기구를 가지는 그리이스봉입 밀봉 베어링으로 방진 내수 성능이 우수하며 여러분야의 사용조건이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 | |
 |
 |
 |
밀봉깊은홈 볼베어링의 내륜의 폭을 넓게 연장시킨 것으로 육각구멍붙이 멈춤나사에 의해 간단히 축에 고정할 수 있다. UC와 동일하게 고품질의 그리이스를 봉입하여 탁월한 내진(耐塵), 내수(耐水) 성능을 가지고 있다. 축과의 조립이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하여 일반 볼베어링과 같이 폭넓게 사용된다. | |
 |
 |
 |
외륜의 외경면에 스냅링(Snap Ring)이 조립되어 있고, 육각구멍붙이 멈춤나사로 축에 간단히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공장기계의 치차(齒車)하우징등, 복잡한 베어링 하우징 구조를 단순화 하기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UC형과 같이 우수한 방진(防塵), 내수(耐水)성능을 가지고 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