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기계공학

고위발열량 저위발열량

좋은나라 2012. 9. 13. 11:37

고위발열량, 저위발열량이란 무엇입니까? | 수소경제·생산·충전소

2 / 2007.04.04 14:26

고위발열량, 저위발열량이란 무엇입니까?

답: 연료의 발열량이란 연료가 완전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이며 고체 및 액체연료의 경우에는 그 단위 중량(1kg)의 연소로 발생하는 열량을 kcal로 나타내고, 기체 연료의 경우에는 표준 상태에서 단위 체적 (1N㎥)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을 kcal로 각각 표시한다.

1) 고위 발열량(Higher Heating Value)
연료가 연소한 후 연소가스의 온도를 최초 온도까지 내릴 때 분리하는 열량이며 이때 연소 가스 중의 수증기는 응축하여 액체가 되며 응축할 때 응축열을 발산하고 그 응축열까지를 포함하여 열랑을 계산한 것이 고위 발열량이며 총발열량이라고도 한다.

쉽게 설명하면 탄화수소류의 기체 연료는 연소시 산소와 결합하여 연소가스를 배출하고 수증기를 생산하게 된다. 그때 발생된 수증기는 응축이 되지 않지만 연소가스의 최초 온도까지 내릴때를 가정하면 수증기는 응축이 되고 응축이 될 경우 열을 발산하게 된다.
(물을 수증기로 만들 때에는 열을 가하여야 하고 응축시킬 때에는 열을 빼어야 하는 원리와 동일함.)
이때의 응축열량까지 합한 열량을 고위 발열량이라고 말한다.

2) 저위발열량(Lower Heating Value)
저위 발열량은 위에서 설명한것과 같이 고위발열량에서 연소가스 중에 함유된 수증기의 증발열을 뺀 것을 말한다.

통상 고체와 액체 연료의 경우 열량계산을 저위발열량으로 기준하는데 그 이유는 고체나,
액체 연료의 경우 연료를 기화시켜 연소시키기 위하여 연료중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켜야한다.
액체상태에서 기체상태로 상변화를 시키기 위해서는 수분의 증발열이 필요하게 된다. 이처럼 수분의 증발열을 뺀 실제로 효용되는 연료의 발열량을 저위발열량이라 한다.

연소시 연소가스의 온도는 통상 200~300℃로 그냥 외부로 방출되므로 응축에 이용되는 열은 거의 없으므로 흡수식 냉온수기의 경우 COP 계산시 저위발열량 기준으로 계산을 하고 있다.

 

 

고위발열량, 저위발열량이란 무엇입니까?

 

연료 또는 폐기물의 발열량이란 연료 또는 폐기물 1㎏이 완전연소할 때 발생하는 연소열로 정의되며

열량을 일반적으로 kcal로 나타내므로 발열량의 단위는 kcal/kg으로 표현한다.

한편 발열량은 통상 건조발열량(Hd)·고위발열량(Hh)·저위발열량(Hl)등 세 가지 서로 다른 수치로 표현할 수 있는데

그들에 내포된 의미와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조발열량 (Hd, Heating value on dry basis)
     건조발열량은 폐기물 중의 수분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건조된 폐기물을 기준 으로 측정한 발열량으로 폐기물 발열량 계산의 기준이 된다.

(2) 고위발열량 (Hh, HHV = High Heating Value)
     고위발열량은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된 모든 수분이 응축된 상태로 존재할 경우의 발열량으로서

     폐기물 중에 함유된 수분함량을 고려한 습윤 발열량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발열량과 폐기물 중 수분함량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 은 식에 의해 고위발열량을 계산할 수 있다.


     ● Hh = 고위발열량(kcal/kg), Hd = 건조발열량(kcal/kg)
     ●  W = 폐기물 중 수분함량(%)

 

고위발열량, 저위발열량이란 무엇입니까?

1. 발열량의 정의 
   발열량(Heating value ; H.V. 또는 Calorific value)은 단위 중량의 물질이 완전 연소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열량을 말한다.
   단위 중량(kg, lb)이나 부피(기체의 경우 Nm3, ft3)의 연료를 기준으로 kcal/kg 혹은 kal/Nm3와 같이 나타낸다.

   다만 분자중에 수소가 들어 있는 경우에는 연소로 생기는 물 의 상태가 기체(수증기)인가 액체(물)인가에 따라

   그 증발열만큼 차이가 나므로 전자를 저위(Lower or Net)발열량, 후자를 고위(Higher or Net)발열량이라 하여 구분한다.


2. 발열량의 종류
   가. 고위 발열량(HHV, Hh)
        ㅇ 고위 발열량은 열량계로 측정되며 총발열량이라고 한다.
        ㅇ 연소에 의하여 생성된 연소가스 중에는 수분이 포함되는데 이것은 연료중의 수소분이 타서 생성되는 것과

            연료중에 함유된 수분이 가스로 배출되는 것이다.
        ㅇ 고위 발열량은 연료중의 수분 및 연소에 의하여 생성된 수분의 응축열(증발잠열, Hs) 을 함유한 열량이다.
        ㅇ 실제 연소에서는 연소가스 중의 수분은 연소에 사용되지 않고 수증기 상태로 배출되 기 때문에

            응축열은 실제 연소에 이용되지 않는다.

 

수소의 고위발열량 (HHV, Higher Heating Value)은 286,000 kJ/kmol

Hydrogen 분자량 : 2.016

고위발열량(HHV) :  33,890 kcal/kg , 3,050 kcal/Nm3 , 57.8 Kcal/mol

저위발열량(LHV)  :  28671 Kcal/Kg , 2,580 kcal/Nm3

 

 

연료소비량은 저위발열량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저위발열량
①경유:43,116KJ/㎏{10,300㎉/㎏} ②보일러등유:43,400KJ/㎏{10,368㎉/㎏}
③LNG: 37,726KJ/㎏{10,000㎉/N㎥} ④LPG+AIR: 52,817KJ/㎏{14,000㎉/N㎥}
⑤프로판: 84,507KJ/㎏{22,400㎉/N㎥} ⑥부탄: 111,293KJ/㎏{29,500㎉/N㎥}

 

기름/가스보일러의 효율은 일반적으로 85%로 잡는다.

 

발열량(Heating value ; H.V. 또는 Calorific value)은 단위 중량의 물질이 완전연소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열량을 말한다.


단위 중량(kg, lb)이나 부피(기체의 경우 Nm3, ft3)의 연료를 기준으로 kcal/kg 혹은 kal/Nm3와 같이 나타낸다.

 

다만 분자중에 수소가 들어 있는 경우에는 연소로 생기는 물의 상태가 기체(수증기)인가 액체(물)인가에 따라 그 증발열만큼 차이가 나므로 전자를 저위(Lower or Net)발열량, 후자를 고위(Higher or Net)발열량이라 하여 구분한다.

 

가장 간단한 탄화수소인 메탄의 연소화학식은 다음과 같다.

CH4 + 2 O2 → CO2 + 2 H2O

단순한 몇종류 연료의 발열량을 살펴보면 다음의 표와 같다.

 

연료

화학식

고위발열량(H.H.V.)

저위발열량(L.H.V.)

kcal/Nm3

kcal/kg

kcal/Nm3

kcal/kg

kcal/Nm3

kcal/kg

kcal/Nm3

kcal/kg

 

 

탄소

C

7,830

7,830

수소

H2

3,050

33,890

2,580

28,670

일산화탄소

CO

3,020

2,420

3,020

2,420

S

2,210

2,210

메탄

CH4

9,500

13,270

8,560

11,950

에탄

C2H6

16,640

12,400

15,230

11,530

프로판

C3H8

23,680

12,030

21,800

3,640

노르말부탄

n-C4H10

30,690

11,830

28,340

10,930

아세틸렌

C2H2

13,860

11,930

13,390

12,530

<Nm3 : 표준상태(0℃ , 1기압)의 기체부피 >

 

- 출처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열량 환산 기준(제2조 관련)

에너지원

단위

총 발열량

석유환산계수

kcal

MJ 환산

원       유

kg

10,750

45.0

1.075

휘   발  유

8,000

33.5

0.800

실 내 등 유

8,800

36.8

0.880

보일러등유

8,950

37.5

0.895

경       유

9,050

37.9

0.905

B  -  A 유

9,300

38.9

0.930

B  -  B 유

9,650

40.4

0.965

B  -  C 유

9,900

41.4

0.990

   

kg

12,050

50.4

1.205

부       탄

kg

11,850

49.6

1.185

나  프  타

8,050

33.7

0.805

용       제

7,950

33.3

0.795

항  공  유

8,750

36.6

0.875

아 스 팔 트

kg

9,900

41.4

0.990

윤  활  유

9,250

38.7

0.925

석 유 코 크

kg

8,100

33.9

0.810

부생연료1호

8,850

37.0

0.885

부생연료2호

9,700

40.6

0.970

천연가스(LNG)

kg

13,000

54.5

1.300

도시가스(LNG)

N㎥

10,550

44.2

1.055

도시가스(LPG)

N㎥

15,000

62.8

1.500

국내무연탄

kg

4,650

19.5

0.465

수입무연탄

kg

6,550

27.4

0.655

유연탄(연료용)

kg

6,200

26.0

0.620

유연탄(원료용)

kg

7,000

29.3

0.700

아 역 청 탄

kg

5,350

22.4

0.535

코  크  스

kg

7,050

29.5

0.705

전       력

kWh

2,150

9.0

0.215

신       탄

kg

4,500

18.8

0.450

 

참고

1. 총 발열량이라 함은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잠열을 포함한 발열량을 말한다.

2. 석유환산계수는 에너지원별 발열량을 1kg = 10,000kcal로 환산한 값을 말한다.

3. 에너지원별 실측 결과는 50kcal에서 반올림한다.

4. 최종 에너지 사용기준으로 전력량을 환산하는 경우에는 1kWh = 860kcal를 적용한다.

5. 석탄의 발열량은 인수식 기준으로 한다.

6. 1cal = 4.1868J로 한다.

7. N㎥은 0℃, 1기압 상태의 체적을 말한다.


다음은 여러 가지 연료의 kg당 발열량입니다.(단위 kJ/kg)(단, 1kJ=1000J)

수소 : 120,000(단위 kJ/kg)
천연 가스 : 55,000(단위 kJ/kg)
부탄 : 50,000(단위 kJ/kg)
가솔린 : 47,000 (단위 kJ/kg)
에탄올 : 28,000(단위 kJ/kg)
나무 : 22,000(단위 kJ/kg)
석탄 : 34,000(단위 kJ/kg)
경유 : 45,000(단위 kJ/kg)

 

구분 LNG LPG
주성분 메탄(CH4) 프로판(3H8) 부탄(C4H10)
비중(공기대비) 0.55 1.55 2.07
연소범위(%) 5~15 2.1~9.5 1.8~8.4
발화온도(℃) 540 450 405
액화온도(℃) -162 -42 -0.5

 

석유류
구 분
원유
휘발유
납사
등유
경유
벙커
A유
벙커
B유
벙커
C유
환산
기준
단위
㎉/㎏
㎉/㎏
㎉/㎏
㎉/㎏
㎉/㎏
㎉/㎏
㎉/㎏
㎉/㎏
발열량
10,000
8,300
8,000
8,700
9,200
9,400
9,700
9,900
석유
환산
단위
㎉/㎏
㎉/㎏
㎉/㎏
㎉/㎏
㎉/㎏
㎉/㎏
㎉/㎏
㎉/㎏
환산
계수
1.00
0.83
0.80
0.87
0.92
0.94
0.97
0.99

 

구 분
가스류
연탄류
기타
프로판
부탄
천연가스
무연탄
유연탄
코크스
신탄
전기
환산
기준
단위
㎉/㎏
㎉/㎏
㎉/Nm³
㎉/㎏
㎉/㎏
㎉/㎏
㎉/㎏
㎉/㎏
㎉/㎾h
발열량
12,000
11,800
10,500
13,000
4,500
6,600
6,500
4,500
2,500
석유
환산
단위
㎉/㎏
㎉/㎏
㎉/Nm³
㎉/㎏
㎉/㎏
㎉/㎏
㎉/㎏
㎉/㎏
㎉/㎾h
환산
계수
1.20
1.18
1.05
1.30
0.45
0.66
0.65
0.45
0.25

 

성 분
화학식
분자량
비점 (℃)
비 중
액 상
기 상
메 탄
CH4
16.04
-161.5
0.42
0.55
에 탄
C2H6
30.07
-88.6
0.55
1.04
프로판
C3H8
44.09
-42.1
0.59
1.52
i-부탄
i-C4H10
58.12
-11.7
0.60
2.01
n-부탄
n-C4H10
58.12
-0.5
0.60
2.01
i-펜탄
i-C5H12
72.15
27.9
0.62
2.49
n-펜탄
n-C5H12
72.15
36.1
0.63
2.49
n-헥산
C6H14
86.18
138.0
0.66
2.97
벤 젠
C6H6
78.11
80.1
0.88
2.69
i-옥탄
C6H18
114.22
99.2
0.70
3.94
공기
N2+O2
28.97
194.3
0.86
1.0
H2O
18.02
100.0
1.00
0.662

 

성 분
임계온도 (℃)
임계압력 (atm)
발화점 (℃)
연소범위
(공기혼합물중%)
총발열량
(㎉/N㎥)
메 탄
-82.1
45.8
595
5~15
9,520
에 탄
32.3
32.3
515
2.9~13
16,820
프로판
96.7
41.9
470
2.1~9.5
24,820
i-부탄
135.0
36.0
462
1.8~8.4
32,020
n-부탄
152.0
37.5
365
1.8~8.4
31,780
i-펜탄
187.0
33.4
350
1.32~7.6
40,520
n-펜탄
196.0
33.3
285
1.4~8.3
40,110
n-헥산
234.7
30.0
240
1.25~6.9
50,340
벤 젠
289.5
48.6
550
1.41~6.75
38,760
i-옥탄
271.5
25.5
400
-
58,780
공기
140.72
37.2
-
-
1.0
374.1
218.2
-
-
-

'공부 > 기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생연료유  (0) 2012.10.02
보일러 등유와 실내등유 차이점  (1) 2012.10.02
실란트 종류와 특성  (0) 2012.02.10
컨베이어 벨트 특성  (0) 2012.02.09
시멘트의 종류  (0) 2012.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