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생연료유 1호 (Hi-sene)
부생연료유 1호(Hi-sene)는 석유사업법, 환경법, 소방법에 명시된 정상적인 제품이고, 제작 공정상 경유와 보일러등유, 등유와 같기 때문에 대체연료(대체유류)로 사용하는데 이런 유가상승 폭이 큰 시대에 큰 이점이 있기 때문에 한번쯤 읽어보시고 타 유류와 다르다는 것을 확실히 인지하자는 마음에서 아래의 자료를 올려봅니다.
연료 자체에서는 사실 냄새가 타 유류보다는 조금 더 강한 것이 사실입니다만, 혹자는 연소 후 배기가스에서 냄새가 난다고 하지만 제대로 완전연소가 되었다면 냄새가 나진 않습니다. 산소주입량 등 공연비 조절을 통해 완전연소를 할 경우 실내등유와 비슷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그만큼 부생연료유가 깨끗한 기름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실제로 부생연료유가 보일러 등유와 실내등유처럼 인식이 확실한 것은 아니어서 모 휴게소에서 집접 실내에서 테스트 해 보았으나 - 손님이 많은 화장실 안 히터에 연료를 넣고 때웠습니다 - 테스트 결과 연소시 냄새도 발생하지 않고 쓰는데에는 이상이 없다라고 판단하셔서 받아들이셨던 에피소드가 있습니다.)
부생연료유(副生燃料油)란 말 그대로 기존의 공정과정에서 파생되는 물질을 연료로 만든 것을 의미합니다. 정밀 화학 공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원료인 나프타(Naphtha, 납사)를 분해하면서 생긴 부생유를 가공하여 만들어 낸 것이 바로 부생연료유이며, 생성된 연료는 1호와 2호 두 가지로 분류되는데 1호는 보일러 등유와 실내등유를 대체해서 사용할 수 있고, 2호는 중유와 B-C유를 대체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순수한 성분의 유류이며, 폐유를 정제해서 만든 정제유와는 달리 고품질의 연료라 할 수 있습니다.
부생연료유를 생산하는 과정은 아래의 그림과 같습니다.
나프타는 정유공장에서 원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등유, 경유 등과 생산되는 중간 제품으로서, 정유공장에서는 휘발유 제조의 기본이 되는 유류로 사용되며, 석유화학 공장과 비료공장의 주 원료로 공급됩니다. 삼성 토탈(주)에서는 원유가 아닌 원유를 정제한 나프타를 원료로 수입을 하여 정유사와 동일한 증류탑에서 스팀으로 끓여서 벤젠, 톨루엔 등의 화학제품의 원료를 생산하고 탄소수 9~18개 정도의 부산물(제품)을 부생연료유 1호(Hi-sene)라 명명하고 판매하고 있습니다.
석유 사업법상의 부생연료유 품질 기준 (산업자원부 고시 제 2001-73호)
부생연료유는 부산물인 석유제품 판매업자가 석유제품을 제조함에 있어 부산물로 생산되어 보일러(가정용 제외) 또는 노(Furnace, 가열, 융해로 등)의 연료로 사용하게 할 목적으로 판매하는 것을 말하며 다음의 품질기준에 적합하여야 합니다.
|
1호 (등유형) |
2호(중유형) |
유동점 (℃) |
-20 이하 |
-20 이하 |
인화점 (Tag, ℃) |
40 이상 |
40 이상 |
동점도 (40℃, cSt) |
0.9 ~ 1.8 |
0.9 ~ 3.0 |
증류성산 (90%유출온도, ℃) |
180 ~290 |
160 ~ 270 |
동판부식 (50℃, 3h) |
1 이하 |
1 이하 |
수분 및 침전물 (부피%) |
- |
0.5 이하 |
10%잔유중 잔류탄소분 (무게%) |
0.15 이하 |
15 이하 |
회분 (무게%) |
0.02 이하 |
0.05 이하 |
황분 (무게%) |
0.1 이하 |
0.2 이하 |
밀도 (15℃, ㎏/㎥) |
850 이하 |
- |
색 (육안식별) |
청색 |
검은색 |
식별제 첨가량 (㎎/ℓ) |
10 이상 |
10 이상 |
(식별제 첨가량은 Unimark 1494DB의 첨가량을 말합니다.)
Hi-sene은 부생연료유 제 1호로써 High + Kerosene(등유)의 합성어이며, 석유화학공장에서 나프타를 원료로 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탄소 수 9~18개 정도의 제품으로서, 석유화학 공장의 원료인 나프타 및 콘덴세이트를 전처리과정에서 분리하여 생산된 성분 중 중질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명칭은 Hi-sene로 명명하고 있습니다. (석유사업법상 부생연료유 1호로 등록되어 있음.)
기존의 연료유를 대체할 수 있으며, 보일러와 버너의 연료 등으로 사용 될 수 있습니다. 기존의 보일러등유, 경유, 벙커유 등 액체원료를 사용하는 열원 공급시설(산업용 보일러, 제반 가열로, 중소형 보일러 등)에 대체 연료유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Hi-sene을 만드는 공정을 조금 더 단순화 시키면 다음과 같은 그림이 됩니다.
[보일러 등유와 Hi-sene 규격 비교]
구 분 |
A사 보일러등유 규 격 |
B사 보일러등유 규 격 |
Hi-sene제조 규 격 |
회 분 (무게%) |
0.02 이하 |
0.01 이하 |
0.02 이하 |
10% 잔류 탄소분 |
0.15 이하 |
0.15 이하 |
0.15 이하 |
색 상 |
적색 (육안식별) |
적색 (육안식별) |
청색 (육안식별) |
동판부식 |
1 이하 |
1 이하 |
1 이하 |
밀 도 (㎏/ℓ) |
보고 |
보고 |
0.85 이하 |
90% 증류온도 (℃) |
285 ~ 325 |
285 ~ 325 |
180 ~ 290 |
인 화 점 (℃) |
40 이상 |
40 이상 |
40 이상 |
유 동 점 (℃) |
-15 이하 |
-15 이하 |
-20 이하 |
황 분 (무게%) |
0.1 이하 |
0.1 이하 |
0.1 이하 |
동 점 도 40℃,㎟/s |
1.4 ~ 3.0 |
1.4 ~ 3.0 |
0.9 ~ 1.8 |
식 별 제 |
첨가 |
첨가 |
첨가 |
[각 연료별 물성 비교표]
구 분 |
경유 (Diesel oil) |
보일러등유 (Heating Oil) |
실내등유 (Kerosene) |
부생연료유 (Hi-sene) |
10% 잔류시 잔류탄소 (무게%) |
0.01 |
0.02 |
0.01 |
0.02 |
증류성상 (90%유출온도,℃) |
347.0 |
315.8 |
245.7 |
226.5 |
동판부식 (50℃, 3Hr) |
1 |
1 |
1 |
1 |
외 관 (색) |
노란색 |
빨간색 |
무색 |
청색 |
발 열 량 (㎉/㎏) |
10,950 |
10,980 |
10,970 |
10,980 |
동 점 도 (40℃, sSt) |
3.030 |
1.691 |
1.300 |
1.0270 |
인 화 점 (Tag, ℃) |
54 |
47 |
47 |
45 |
유 동 점 (℃) |
-10.0 |
-35.0 |
-56.0 |
-50.0미만 |
회 분 (무게%) |
0.01 미만 |
0.01 미만 |
0.01 미만 |
0.01 미만 |
황 분 (무게%) |
0.025 |
0.083 |
0.001 |
0.080 |
수 분 (무게%) |
0.01 이하 |
0.01 이하 |
0.01 이하 |
0.01 이하 |
비 중 (60/60℃) |
0.8385 |
0.8191 |
0.7989 |
0.8002 |
하이신이 가지고 있는 경쟁력이 무엇인가는 아래의 그림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 부생연료유(Hi-sene)는 유황함량이 0.1% 이하, 회분이 0.01% 이하로 불순물이 거의 없으며 연소성능이 매우 양호합니다.
- 대기환경보전법이 구정한 경질유(휘발유, 등유, 경유, 보일러등유, 납사) 중에서 납사(나프타)에 해당하므로, 부생연료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나 가열로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에서 제외됩니다.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3]의 (비고2))
- 부생연료유는 유황분이 0.1%이하 이므로 B-C유를 사용하다가 부생연료유로 교체하고 연료 변경을 신고하면, 대기배출 부과금(황산화물)이 면제됩니다.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제 26조, 제 1항)
※ 대기환경보전법 관련 링크 : http://likms.assembly.go.kr/law/jsp/Law.jsp?WORK_TYPE=LAW_BON&LAW_ID=A1535&PROM_NO=09695&PROM_DT=20090521
- 소방법에 관련된 의무사항은 없습니다. 등유, 보일러 등유 또는 경유로 위험물의 저장, 취급허가를 받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허가나 변경신고를 할 필요가 없으며, 다만 연료 저장탱크 게시판에 "제 4류 제 2석유류(부생연료유)"로 표기하면 됩니다. (위험물제조소등 허가시에 품명지정 등에 관한 지침 참조.)
- B-C유 또는 B-A유를 사용하다가 부생연료유(Hi-sene)로 교체 할 경우에는 위험물 제조소등의 품명변경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 계속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합니다. 부생연료유(Hi-sene)를 생산하는 삼성토탈주식회사의 공장은 대규모 석유화학단지로서, 연중 무휴로 가동되기 때문에 천재지변이나 국가 비상사태 등의 불가항력적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 한 안정된 공급이 보장됩니다.(생산능력 연산 25만㎘) 수요증대로 공급물량이 부족하게 되어도 공급계약을 체결한 고객은 차질없는 공급을 보장합니다.
- 병원, 아파트, 대학교, 산업체, 콘도 리조트, 연수원 등 산업 및 영업시설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부 > 기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박이야기 (0) | 2014.02.27 |
---|---|
[스크랩] 압력배관용 탄소강관(SPPS=STPG) (0) | 2014.01.27 |
보일러 등유와 실내등유 차이점 (1) | 2012.10.02 |
고위발열량 저위발열량 (1) | 2012.09.13 |
실란트 종류와 특성 (0) | 2012.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