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기계공학

보일러 등유와 실내등유 차이점

좋은나라 2012. 10. 2. 12:24

보일러 등유/실내 등유 차이점

보일러 등유(heating oil)
등유와 경유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된 연료로서

부피당 발열량은 실내등유보다는 높으며,

그을음 발생량이 적고, 낮은 온도에서도 유동성이 우수합니다.

특히 끓는점(90%에서 유출온도)을 적절한 수준으로 균등하게 유지하여

보일러에서 연소성과 발열량을 동시에 만족 시키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겨울철에 연료가 얼어서 연료호스나 노즐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동점을 영하 18℃ 이하로 유지되도록 하였고, 실내등유와의 구분을 위해

착색제(적색)를 주입하고 있습니다.

보일러등유는 가정용 소형 보일러나 여관, 목욕탕 등의 상업용 보일러에 사용되도록 고안된 연료입니다. 열량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며, 저온유동성이 뛰어나 혹한 시에도 시동상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자동차에 사용할 경우, 연료펌프 등의 마모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경유차량의 연료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실내등유(kerosene)
석유제품 중에 가장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온 것으로 대부분이 조명용 연료로서 이용되어 왔습니다.
현재는 조명용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가정 난방용 연료로서 스토브, 로터리히터,

온풍기 등 실내보조 난방기기와 주방용 연료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실내등유는 팬히터와 같이 실내용 난방기 전용으로 만들어진 제품으로

황분이 거의 없어 연소시에도 유해가스가 발생되지 않아 냄새나 눈매움이 없습니다.

또한 고도로 정제된 고순도이기 때문에 석유제품 특유의 역한 냄새가 적어

실내보관 및 사용 시에도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보일러 등유와 실내 등유의 차이점

등유는 끊는점이 160 ~ 250℃정도인 유분으로 (그을음이 없고 연소시 연기가 나지 않아야 하는 등) 실내 난방기기용 연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품질을 갖고 있습니다. 경유는 끊는 점이 200 ~ 370℃정도인 등유보다 무거운 유분으로(착화성 우수 등)자동차용 연료로 사용하기에 적합

보일러 등유의 장점

1. 발열량이 높고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임

2. 보일러 설계기준과 잘 조화되어 보일러 연소에 적합함

3. 혹한기 저온성능 우수

보일러 가동시 점화가 잘 안되거나 그을음이 발생하면 ?

보일러등유는 실내등유대비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조금 더 필요합니다.

공기가 부족하게 되면 불완전연소가 발생하여 그을음이 생성되고

그을음이 보일러에 축적되게 되면 공급되나 유입되는 공기량이 더욱

부족하게 되어 결국 보일러가동이 중단되게 됩니다.

그을음이 가득 차서 보일러가 정지된 경우에는 보일러 내부나 연동의

그을음을 청소한 이후에 공기량을 조절하여야 정상가동이 됩니다.

추위에 강한 보일러등유도 흑한기에 급격히 기온이 내려갈때면 혼탁물질(왁스)이 발생하여 보일러의 정상적인 가동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뜨거운 물 등으로 저장탱크의 연료출구,밸브, 배관, 필터등과 같이 왁스에 막히기 쉬운부분을 녹여주시면 됩니다.

, 직접적인 화염을 사용하시면 절대 안됩니다.


보일러 등유와 실내등유 용도에 맞게 사용해야 됩니다.

세계적으로 등유를 난방용 연료로 사용하는 나라는 일본과 우리나라 뿐이며 품질기준은 두 나라 모두 실내연소에 적합하게 되어 있으나 사용방법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일본은 다다미방 문화인 관계로 팬히터등 실내 난방기기로 난방을 하면서

연료로 등유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온돌문화인 관계로 실외에 설치된 보일러로 난방을 하면서도 연료로는 등유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 실내용에 적합하게 생산된 등유를 실외보일러용 연료로 사용하는 것은 사실상 자원낭비에 해당합니다.

인터넷에서 발췌함 2010.09.10

'공부 > 기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압력배관용 탄소강관(SPPS=STPG)  (0) 2014.01.27
부생연료유  (0) 2012.10.02
고위발열량 저위발열량  (1) 2012.09.13
실란트 종류와 특성  (0) 2012.02.10
컨베이어 벨트 특성  (0) 2012.02.09